국제통화기금(IMF)이 올해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종전 1.5%에서 1.4%로 다시 낮췄다. 이번까지 IMF는 한국성장률 전망치를 다섯차례 연속 낮췄다. 반면 한국을 제외한 미국과 일본, 유럽 등 주요국의 성장률 전망치는 일제히 올렸다.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도 종전보다 높였다. 한국경제만 나홀로 부진하면서 세계 경제의 ‘왕따’로 전락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25일 IMF가 낸 ‘2023년 7월 세계 경제 전망’을 보면 올해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는 3.0%로 지난 4월 전망(2.8%)보다 0.2%포인트 높다. IMF는 매년 1월과 4월, 7월, 10월에 세계경제전망치를 발표한다. 4월과 10월은 전체 회원국 대상으로 전망치를 내고 1월과 7월은 한국을 포함한 주요 30개국 대상 수정 전망치를 공개한다.
IMF는 미국의 부채 한도 협상 타결과 실리콘밸리 은행·크레딧스위스 사태가 진정되면서 금융 시장이 전보다 안정됐다고 평가했다. 코로나19 종식으로 관광을 비롯한 서비스 소비가 큰 폭으로 증가한 점도 세계 경제 회복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국가별로 보면 미국, 영국, 일본은 1분기 소비·투자 실적이 기대를 웃돌면서 나란히 성장률 전망이 상향 조정됐고, 이탈리아·스페인은 관광업 수요 회복에 힘입어 성장률이 올랐다.
하지만 IMF는 이번에도 한국의 경제 성장률은 종전 전망치(1.5%)보다 0.1%포인트 내려 잡았다. 지난해 4월 올해 한국 성장률은 2.9%로 전망한 IMF는 같은 해 7월 2.1%로 내린 뒤 올해 1월(1.7%)과 4월(1.5%)에 하향 조정했다. 이번에도 1.4%로 성장률 전망치를 내려 내리 5번 하향조정했다. 이번 IMF 전망치는 OECD(1.5%)보다는 낮고 정부(1.4%), 한국은행(1.4%)과는 같은 수준이다.
한국경제가 나홀로 약세를 보이는 이유는 경제버팀목인 수출이 계속 감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부는 하반기면 수출이 회복될 것으로 기대했지만 이달에도 20일까지 15%넘게 줄었다. 최대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가 좋지못한데다 대중관계가 악화되면서 반전의 기회를 찾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다 정부는 재정지출을 억제하고 있고, 고금리로 민간소비까지 하반기에는 부진할 것으로 보여 ‘상저하저’우려까지 나오고 있다. 글로벌 신용평가사인 피치는 올해 한국 성장률을 1.2%로,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는 1.1%로 전망한 상태다.
한편 IMF는 세계 경제에 대해 단기적으로 회복하고 있으나 여전히 위험요인이 많은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물가 상승률은 하락세에 접어들었지만, 근원물가상승률이 여전히 높다며 긴축기조를 유지할 것을 권고했다. 중장기적으로는 재정건전성 확보와 노동시장 유연화, 탄소중립 실현을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