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7 정상, 이스라엘 학살극엔 '입꾹닫'…이란만 규탄 (2024. 10. 5.)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4-10-07 11:00 조회141회관련링크
본문
G7 정상, 이스라엘 학살극엔 '입꾹닫'…이란만 규탄
- 이유 에디터
- 승인 2024.10.05 17:05
서방 선진국들의 이중잣대와 위선 들통
G7 성명 "이스라엘 안보 공약 재확인"
무기·자금 지원 중단, 실질적 제재 통해
네타냐후 정권 광기 못 막으면 '공염불'
이스라엘 실명 비판 단 한 군데도 없어
"이스라엘 안보에 대한 우리의 공약을 분명히 재확인한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 7개국(G7) 정상들은 3일 발표한 공동성명을 통해 악화하는 중동 상황에 깊은 우려를 표명하고 "지역 안정을 심각하게 위협하는, 이스라엘에 대한 이란의 직접적 군사 공격을 가장 강력한 말로 규탄한다"면서 이렇게 다짐했다. 사방을 대표하는 G7의 멤버는 미국·영국·프랑스·독일·이탈리아·캐나다·일본이며 각종 국제 정치·경제 현안에 자신들의 이해를 관철해왔다.
G7 정상, 중동 파괴 주범으로 이란 지목
"이란 직접 군사 공격 가장 강하게 규탄"
G7 정상은 중동 전역에서 안정을 파괴하는 주범을 이란으로 지목했다. 이란이 후티, 헤즈볼라, 하마스를 포함한 "테러리스트 대리 조직들과 무장 그룹들"을 통해 중동의 안정을 파괴하고 있다면서 중단을 요구하고 상황 악화를 막기 위한 "조율된 행동들"을 협의했다고 밝혔다. 이들은 전날인 2일에도 성명을 내고 이스라엘을 향한 이란의 미사일 공격을 규탄했다.
이스라엘은 가자와 요르단강 서안에서 대학살을 벌이는 와중에, 지난 7월 말 이란 테헤란에 마수드 페제시키안 대통령 취임 축하 사절로 가 있던 하마스 최고지도자이자 휴전 협상 대표였던 이스마일 하니예에 이어, 9월 27일 헤즈볼라 수장인 하산 나스랄라를 표적 공습해 암살하고 곧바로 1일 18년 만에 다시 지상군을 투입해 레바논을 침공하는 등 폭주를 거듭해왔다.
이에 국내외의 조롱에도 대응을 자제해오던 이란은 마침내 1일 '자위권'을 내세워 이스라엘을 향해 탄도미사일 200발을 쐈다. 이란은 이스라엘의 "추가 보복이 없으면" 더 이상의 군사 조치는 없다고 말했지만, 이스라엘은 이란의 석유 시설이나 핵 관련 시설에 대한 공격을 계획하고 있다는 추측 보도들이 나오고 있는 형국이다.
이스라엘 대량 학살극엔 일언반구 없어
서방 선진국들의 이중잣대와 위선 들통
이에 G7 정상은 성명에서 "위험천만한 공격과 보복의 (악)순환은 중동에서 통제 불가한 확전에 기름을 부을 위험이 있으며 이는 누구에게도 이익이 되지 않는다"라고 현 상황의 심각성을 인정했다. 이런 인식 아래 G7 정상은 △ 모든 역내 행위자의 책임과 자제력 있는 행동 △ 긴장 완화를 위한 모든 당사자의 건설적 관여 △ 국제 인도주의법 존중 등을 촉구했다.
그러나 이날 성명에서 G7 정상은 이란은 "가장 강력한 말로 규탄"했지만, 지구촌 주민 대부분이 경악하는 이스라엘의 학살극에 대해선 입을 굳게 다물었다. 성명에서 '이스라엘'이란 단어가 사용된 건 '안보 공약'을 지키겠다고 다짐할 때하고 이란이 이스라엘을 공격했다고 할 때만 사용됐다. 서방 선진국이라는 G7의 이중잣대와 위선을 드러내는 성명이 아닐 수 없다.
가자 전쟁과 관련해 먼저 G7 정상은 하마스의 야만적인 10·7 기습공격을 "의도적 폭력을 사용한 정당화될 수 없는 행동으로 가능한 가장 강한 표현으로 다시 한번 규탄한다"고 말했다. 그런 다음 가자에서의 즉각 휴전과 모든 인질의 무조건적 석방, 인도주의 지원의 지속적 확대, 분쟁의 종식을 촉구하고,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 2735호에 따른 일괄 타결을 위한 미국, 카타르, 이집트 중재 노력에 대한 전폭적인 지지를 표명했다.
무기·자금 지원 중단, 실질적 제재 통해
네타냐후 정권 광기 못 막으면 '공염불'
지난 6월 10일 채택된 안보리 결의 2735호는 바이든의 제안을 토대로 작성된 3단계 휴전안이며, 그 내용은 △ 1단계: 첫 6주간의 즉각적이고 전면적이며 완전한 휴전과 가자 인구 밀집 지역에서 이스라엘군 철수, 일부 인질과 팔레스타인 수감자 교환, 팔레스타인 민간인의 귀향, 가자 전역에 대한 대규모 인도주의 지원의 안전하고 효과적 제공 △ 2단계: 모든 인질 석방과 가자에서 이스라엘군의 완전 철수 등 영구적 적대행위 종식 △ 3단계: 다년에 걸친 가자 재건 계획 개시와 사망한 인질 시신 송환 등으로 돼 있다.
10·7 하마스의 기습공격 이후 '자위권'을 구실로 이스라엘의 베냐민 네타냐후 극우 정권은 무자비하고 무차별적 보복 공격을 통해 가자지구에서 지난 1년간 어린이와 여성 등 수많은 민간인을 비롯해 4만2000명이 죽었고, 아직 확인하고 집계할 수조차 없는 사망자와 실종자들도 많다.
그러나 G7 정상들은 네타냐후 극우 정권의 학살극엔 일언반구도 없이 "가자 상황은 재앙적이고 수만 명이 무고한 이들이 목숨을 잃었다"고만 말했다. 이스라엘의 제노사이드(집단학살) 범죄 행위를 '희석' '은폐'하려는 의도를 드러내고, 결국 '공범'임을 자인하는 꼴이 됐다는 비판을 받을 만하다. 뒤이어 이들 정상은 "민간인 주민 보호의 절대적 필요성"을 강조했지만, 그들이 무기·자금 지원 중단과 실질적 제재를 통해 광기 어린 네타냐후 정권의 폭주를 막지 않는 한 그런 말은 공염불에 가깝다.
이스라엘의 레바논 지상 침공 비판도 없어
적대 행위 즉각 중단, 블루라인 복원 촉구
이스라엘 지상군의 레바논 침공에 대한 비판은 전혀 없다. 그냥 "레바논 상황도 깊이 우려한다"면서 '블루 라인'을 따른 외교적 해법을 위해 공간을 마련하기 위해 가능한 한 빨리 적대행위 중단 필요성을 지적했다. '블루 라인'은 2006년 유엔 안보리 결의 1701호에 따라 설정된 이스라엘과 레바논의 경계선이다. 이 결의의 핵심은 내용은 당시 침공했던 이스라엘군은 레바논에서 완전히 철수하고, 레바논은 리타니 강 이남에는 헤즈볼라를 뺀 정규군과 레바논 유엔평화유지군(UNIFIL)만 주둔시킨다는 것이었다.
G7 정상은 "이것이 꾸준히 긴장을 완화하고, 이스라엘-레바논 국경을 안정시키며, 레바논의 주권과 영토 완전성, 안정을 완전히 복원하고, 피난한 양측 시민들이 안전하게 제집으로 돌아올 유일한 길이다"라면서 "모든 행위자는 민간인 주민을 보호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그리곤 유엔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레바논 유엔평화유지군의 역할을 인정한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성명의 처음에서 끝까지 이스라엘의 '실명'을 거론해 비판한 건 한 군데도 없었다.
안보리 10개 비상임 이사국은 3일 성명을 내고 외교적 해법만이 유일한 방안이라며 '폭력의 악순환'을 규탄하면서 모든 적대 행위의 즉각 중단을 촉구했다고 연합뉴스는 전했다. 미국 CNN이 레바논 보건부를 인용한 보도에 따르면, 4일 현재 사망자는 어린이 127명을 포함해 1400명이 넘고, 부상자는 7500명에 육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