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소식

홈 > 소식 > 새소식
새소식

[KOTRA-뉴욕무역관] 북한의 20년 모바일 시장 역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2-12-15 09:04 조회1,044회

본문

 

북한의 20년 모바일 시장 역사
  • 북한정보
  •  
  • 미국
  •  
  • 뉴욕무역관 신재우
  •  
  • 2022-12-14
  •  
  • 출처 : KOTRA

제한된 정보 제공과 감청망 구축

북한의 20년 모바일 시장 역사

- 제한된 정보 제공과 감청망 구축 -

 

 

□ 북한 모바일 시장의 발전

 

 ㅇ 2002년 11월 평양과 라선에 첫 모바일 통신망 ‘선넷’ 개통

   - 태국 통신기업 록슬리 퍼시픽(Loxley Pacific)이 보다폰 헝가리(Vodafone Hungary)로부터
2G 중고 통신망을 수입해 3G로 업그레이드 후 해서 설치

  - 비용은 가입비 750 유로, 기기비 300 유로, 통화료 1분당 북한 돈 15원으로 책정됨

  - 첫 달 3,000명 가입, 2003년 말까지 20,000명이 가입했으며, 2003년에 수도 주변과 일부 고속도로로 서비스 확장

  - 김정일 암살 시도로 추정되는 2004년 북한 룡천역 열차 폭발 사고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시도됐다는 설이 돌면서 북한 당국은 일반 시민의 모바일 사용을 전면 금지함

  - 이후 수년 뒤, 북한 방문자들이 시스템에서 선넷망이 잡히는 것을 봤다고 말함과 동시에 휴전선 부근에서
여전히 선넷망이 잡히는 것을 미루어 볼 때, 북한 고위급에서는 계속해서 선넷 통신망을 사용했던 것으로 보여짐

 

 ㅇ 2008년 12월 이집트의 오라스콤이 3G ‘고려링크’ 개통

   - 북한에서 최근까지 사용되고 있는 모바일 망으로 2008년 12월 이집트 오라스콤(Orascom Technology)과
북한 당국이 75대 25의 비율로 지분을 투자한 통신회사 ‘Cheo’가‘고려링크’모바일망 개통

  - 최초 개통 시, 기본 전화 기능만 지원하다 곧바로 스마트폰 서비스를 지원,
2014년까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지원하며 해외 콘텐츠도 접근 가능했음

  - 2014년 북한 이 모든 사용자에게 업데이트를 강요, 이후 북한이 허용한 콘텐츠만
접근 가능하도록 전환됐음에도 고려링크 가입자 수는 계속해서 증가함

  - 2020년 기준 유선 전화 개통이 120만 가정인데 비해, 고려링크의 가입자 수는 2015년 250만 명을 넘어 
모바일 체제가 북한의 기본 통신 수단으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여짐

  - 2015년 6월, 오라스콤이 북한 당국에 고려링크의 이익금 배분을 요청했으나,
지급 통화에 대한 의견 차이를 보이다 11월에 고려링크의 운영에서 배제되는 일이 발생함

  - 2018년 9월, 오라스콤은 UN으로부터 고려링크 운영을 지속할 수 있는 권한을 받음

 

<시간순 북한 모바일 발전사>

연월

내용

 1998년

 록슬리 퍼시픽이 2G 네트워크망 사업 시작

 2002년 11월

 평양과 라선에 선넷 개통

 2004년 4월

 북한 당국이 룡천역 폭발사고를 계기로 선넷의 일반 시민 서비스 종료

 2008년 12월

 오라스콤이 평양에 3G 네트워크 망 '고려링크' 개통

 2012년 2월

 고려링크 가입자 100만 명 돌파

 2013년 2월

 고려링크, 인터넷과 북한 방문 외국인을 위한 국제전화 서비스 지원

 2013년 2월

 강선넷 3G 개통

 2013년 5월

 고려링크, 가입자 200만 명 돌파

 2015년 6월

 고려링크, 로이터와 인터뷰에서 가입자 250만 명이라고 밝힘

 2015년 6월

 오라스콤이 북한 당국에 이익 배분 요청

 2015년 11월

 오라스콤이 '고려링크'의 운영에서 배제됨

 2017년 9월

 평양에 '미래 wifi'망 서비스 시작

 2018년 9월

 오라스콤이 UN으로부터 고려링크 운영을 지속할 권한을 받음

 2019년 11월

 노동신문 '을림' 네트워크 개발 보도

자료:38North.org

 

 

□ 오늘날의 북한 모바일 시장 현황

 

 ㅇ 북한의 모바일 통신사는 ‘고려링크’와 ‘강선넷’으로 양분화

   - 2013년 북한 당국의 주도로 개발된 ‘강선넷’과 ‘고려링크’가 북한 모바일 시장을 주도하고 있음

   - 강선넷은 고려링크와 같은 통신망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이며, 주로 지방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음

   - 두 네트워크 모두 전국을 대상으로 통신망을 운영 중인 것으로 보여짐임

 

 ㅇ 북한 성인의 50~80퍼센트가 모바일 폰 사용중인 것으로 추정

   - 국민통일방송의 설문에 응답한 50명의 북한 주민 중 46명이 모바일 폰을 소유하고 있었으며,
그 중 41명은 본인 소유의 모바일 폰을 사용 중이라고 밝힘

   - 46명 중 약 90퍼센트가 매일 모바일 폰을 사용하며, 주로 가족 간의 소통이나
사업 운영에 활용중이라고 밝힘이나 사업 상대와 소통함

   - 최근 조사에 따르면 현재 북한 내 모바일 가입자 수는 650만에서 700만 명의 모바일 가입자가 있을 것으로 추정됨

 

 ㅇ 모바일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 위성사진, 영상 등을 분석해 약 1,000개의 통신망(Cellular base station)을 확인한 결과
5Km 단위로 있을 것으로 추정한 통신망 서비스는 주로 대도시 및 고속도로에 위치

 

 <5Km 단위로 수신 타워가 있을 것으로 추정한 통신망 서비스 지역>

주:실제 지형과 전력정도에 따라 다를 수 있음

자료:38North.org

 

 

□ 시사점

 

 ㅇ 북한은 계속해서 Wifi 네트워크망을 확충하려는 노력을 해오고 있음

   - 2017년 북한은, ‘미래’Wifi 네트워크를 평양에 설치했으며, 북한 매체에 따르면 서비스 속도는 33Mbs로 3G 네트워크보다 10배 빠름.
북한 데일리NK의 2022년 10월 보도에 따르면 평양에 이어 남포에도 미래 Wifi 서비스가를 시작 됨

  - 북한 매체는 ‘을림’Wifi 네트워크 서비스에 대해서도 언급했으나, 알려진 세부사항은 없음

 

 ㅇ 2021년 1월, 제 8차 당대회에서 김정은 위원장은 통신 관련 조직에
“모바일 통신 인프라를 차세대 시설로 최대한 빨리 업그레이드“ 하도록 지시

   - 오스라콤의 사례로 봤을 때, 해외 통신 기업이 북한에 사업을 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따를 것으로 보여짐

   - 미래, 을림과 같은 내부 Wifi망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자체 네트워크를 확장할 것으로 예상됨

 

 ㅇ 북한 내 모바일 시장은 꾸준히 확장될 것으로 보이나, 북한 당국은 주민들이
모바일로 접근할 수 있는 영역을 계속해서 제약 및 통제할 것으로 보임

   - 팬데믹 기간 중 북한은 자체 영상회의 시스템 ‘라권’을 사용했으며, 일반 주민들 간
소통의 편리성을 기반으로 으로 네크워크 및 모바일 사업을은 계속 확장 중임

   - 팬데믹 기간 중 당국북한이 접근을 금지한 정보에 접속하거나 통신을 시도해 처벌된 사례가 늘었으며,
북한 당국은이에 북한당국은  통신망에 대한 감시와 통제를 지속하고 있음

 

자료원: 38North.org, 「Twenty Years of Mobile Communications in North Korea」 (‘22.11.15.)

<저작권자 : ⓒ KOTRA & KOTRA 해외시장뉴스>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