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군 당국이 지난 3일 밤 10시 23분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직후 군(軍) 고위 간부들을 비상 소집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북한은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이후 약 18시간 동안 전군에 비상 경계 태세를 발령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6일 데일리NK 북한 내부 군 고위 소식통에 따르면 북한 총참모부는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후 약 30분 뒤인 밤 11시경 군 고위 간부들을 평양시 서성구역 석봉동에 있는 총참모부 본부로 소집했다. 이 회의에는 총참모부에 소속된 주요 간부들이 집결했으며, 주요 부대 군단장을 비롯한 해군, 공군, 전략군 지휘관들은 화상으로 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 군 당국은 이 회의에서 윤 대통령이 계엄을 선포한 것과 한국군이 대비 태세 강화에 들어간 사실을 군 간부들에게 밝히며 이에 따른 대응 조치를 논의했다고 한다. 그리고 해당 회의가 종료된 직후인 4일 새벽 북한 당국은 전군에 비상 작전지휘 태세 전환 명령을 하달했으며, 이 태세는 이날 17시까지 계속됐다.
계엄 선포 이후 한국군이 대비 태세를 격상하자 북한군도 비상 태세에 들어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는 게 소식통의 설명이다.
또 3일 밤 윤 대통령의 계엄 선포 이후 북한 국가보위성과 사회안전성도 각각 비상 간부 회의를 소집하고 전군 경계 태세를 점검했던 것으로 파악된다.
이런 가운데 외부 정보에 비교적 접근하기 쉬운 북한 당 고위 간부들도 계엄 선포 사실을 빠르게 접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 당 간부 중 일부는 한국 대통령이 비상계엄을 선포했다는 사실을 알게 된 후 “인민군대가 남쪽을 공격한 것인가”라는 반응을 보였다고 한다. 당 간부들이 모르는 대남 군사 조치가 있었던 것은 아닌지 당황스러워했다는 얘기다.
또 일부는 “통전부(통일전선부) 서울지구당원들이 다 체포된 것인가”라는 등의 말을 하기도 했다는 전언이다. 실제 남파 공작원들이 한국에서 활동하고 있는지는 확인되지 않지만, 북한 간부들은 아직도 노동당 중앙위원회 10국(前 통일전선부)이 관리하는 남파 공작원들이 서울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계엄 선포 소식에 이들의 활동이 발각된 것 아니냐는 얘기를 했다는 것이다.
북한 간부들은 한국의 계엄 선포 사실을 개별적인 루트를 통해 접했을 뿐, 북한 당국은 당 간부들에게도 아직 계엄 선포 사태와 관련한 어떤 언급도 하지 않고 있다고 소식통은 전했다.
이와 관련해 평양 소식통은 “고위 간부들만 보는 참고신문에는 노동신문에 실리지 않는 외국 소식들이 실리는데, 한국에서 계엄령이 선포됐다가 해제된 사실은 아직까지 참고신문에 나오지 않은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북한 당국은 중급 이상 간부들이 대남 및 해외 정세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해외뉴스를 담은 참고신문을 일간·주간·월간으로 발간한다. 그중에서도 최고위급이 열람하는 일간 참고신문에는 4일과 5일에 한국의 계엄 사태와 관련한 소식이 실리지 않았다는 얘기다.
북한도 한국의 계엄 사태를 어느 수준까지 간부들에게 공개할 것인지를 두고 수위를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참고신문에는 주요 해외뉴스가 실리기 때문에 조만간 간략하게라도 계엄 사태와 관련한 소식이 실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관측된다.
일반 주민들이 보는 노동신문, 조선중앙TV 등 매체들도 계엄 사태에 대한 소식을 전하지 않고 있다. 최근 노동신문이 연일 윤 대통령 퇴진 촉구 집회 등에 대한 기사를 게재했던 것과 달리 계엄 사태에 대해 아무런 언급을 하지 않고 있는 것은 대통령이 선포한 계엄령이 국회의 의결로 해제됐다는 사실이 주민들에게 전달됐을 때 불러올 파장 때문으로 보인다.
북한에선 최고지도자의 명령이 헌법은 물론이고 우리의 국회 격인 최고인민회의의 의결 사안보다 우선시되기 때문에 한국에서 대통령의 명령이 국회에 의해 즉각 무효화된 사실을 주민들이 알게 될 경우 민주주의에 대한 환상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는 게 아니냐는 분석이다.
실제로 북한 당 간부들은 한국에서 계엄령이 선포된 사실보다 국회에 의해 계엄령이 해제된 사실에 더 놀랍다는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소식통은 “대통령이 명령했는데 어떻게 국회에서 이를 해제할 수가 있냐”며 “국회에서 반대하니 바로 명령이 취소됐다는 것에 간부들이 충격을 받았다”고 했다.
이에 대해 홍민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본보와의 통화에서 “한국 정부가 일방적으로 선포한 계엄령이 그대로 실행됐다면 북한 당국은 이를 곧바로 한국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으로 매도하면서 선전선동에 활용했을 것”이라며 “그러나 국회에서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계엄령이 취소됐기 때문에 당국이 이 사실을 주민들에게 전하는 것에 대한 부담감을 느끼고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최고 통수권자의 명령이 민주적인 절차에 의해 해제되는 상황 자체가 북한 주민들에게는 낯선 것이고, 이는 북한의 체제와 비교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당국이 이를 공개하지 않을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지적이다. 다만 대통령 탄핵 표결이 끝난 후에는 북한 당국이 이 같은 한국의 정치 상황을 공개적으로 알릴 수 있다는 관측도 있다.
홍 선임연구위원은 “북한은 통상적으로 과거에도 불확실한 상황을 주민들에게 공개하지 않아 왔다”며 “당장 계엄 사태와 관련한 소식을 주민들에게 공개하기보다는 대통령 탄핵소추안 표결이 끝난 이후 결과가 확실해지면 북한 체제에 유리한 정보만을 선별적으로 공개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