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 의회조사국 “북 코로나 백신 접종, 미국이 대북지원을 제안할 기회” (2022. 9. 20.)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2-09-21 09:20 조회1,099회관련링크
본문
미 의회조사국 “북 코로나 백신 접종, 미국이 대북지원을 제안할 기회”
2022.09.20
사진은 대한적십자사 인천광역시지사에서 자원봉사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예방을 위한 지원품을 준비하는 모습.
북한의 코로나 백신 접종 계획이 북한에 미국이 백신을 지원할 기회가 될 수 있다는 미 의회조사국(CRS)의 지적이 나왔습니다. 김소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미 의회조사국은 최근 갱신한 북한 관련 보고서에서 올 들어 최근 9월까지 북한의 대내·대외적 상황과 한미 양국의 외교·군사적 대북정책 등에 대해 설명했습니다.
보고서는 한미 양국의 지속적인 대화 제의에 북한이 응답하는 대신 올 들어 탄도미사일 시험을 늘리고, 핵무력 정책을 법제화하는 등 오히려 위협 수위를 높이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렇게 북핵 위협이 고조되는 상황에서 미 의회 역시 새 국방수권법(NDAA) 제정을 통해 미사일 방어망을 강화하고 북한의 무기개발 자금원 차단하는 등 북한발 위협 대응 정책에 더욱 집중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보고서는 그러나 일부 의회 의원들은 대북 인도적 지원에 대한 제제 면제 및 면제 승인 절차 완화를 위한 법안도 추진 중이라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이달 초 김정은 북한 총비서의 발표대로 (북한 주민에 대한) 코로나 백신 접종이 시작될 경우, 북한이 수입해야 할 백신에 대해 미국이나 유엔이 북한에 관련 지원을 제안할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Kim Jong-un’s September 2022 statement that North Korea will need to import vaccines to carry out its first COVID-19 vaccination campaign in November could present an opening for the U.S. or U.N. aid offer.)
지난 9일 북한 관영매체에 따르면 김 총비서는 전날 최고인민회의 연설에서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면서 11월 “왁찐(백신) 접종을 책임적으로 실시하는 것”을 언급해 처음으로 코로나 백신 접종 계획을 시사한 바 있습니다.
미 정부와 코로나 국제 백신 공급 프로젝트인 코벡스를 운영하는 세계백신면역연합, 가비(GAVI)는 그 동안 북한에 코로나 백신을 공급할 준비가 돼 있다며, 지원 의사를 밝혀왔지만 아직까지 북한 당국에서 이에 대한 요청은 없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보고서는 또 지난 10년 이상 미 의회 의원들의 방북이 이뤄지지 못했지만 북한이 코로나로 닫았던 국경을 다시 개방할 경우 의원이나 민간 대표단을 파견하는 방안도 고려해 볼 수 있다고 제안했습니다.
이와 함께 북한과 직접적인 접촉을 위해 유엔 주재 북한 대표부 관리들과 뉴욕에서 회동하거나 제 3국에서 정부 관계자와 민간인들간의 비공식 대화(트랙 1.5), 미북 민간차원의 비공식 대화(트랙 2)를 갖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습니다.
보고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상황이 김정은 총비서에게 핵 보유를 정당화하고, 도발행위를 이어갈 수 있는 더 많은 자유를 주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90년대 우크라이나가 미국, 영국, 러시아로부터 체제안전 보장과 경제적 지원을 대가로 핵무기를 포기했지만 결국 러시아의 공격을 받는 것을 보고 김 총비서는 비핵화가 자신의 체제를 약화시킬 것으로 판단한다는 설명입니다.
또, 미국과 중국간 또 미국과 러시아 간 갈등이 심화되면서 북한이 핵과 미사일을 사용하더라도 미국이 주도하는 징벌적 대응에 중국과 러시아가 동참하지 않고, 오히려 북한 정권의 붕괴를 막기 위해 경제적 지원까지 나설 수 있을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습니다.
보고서는 특히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국제사회로부터 더 고립되고 경제적으로 어려워진 러시아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추가 대북제재를 지지할 가능성은 더욱 낮아진 상황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보고서는 김 총비서가 코로나로 인한 대내 경제 및 식량 사정 악화에도 불구하고 체제 안정에 대한 위협이나 대미 관여에 대한 압박을 느끼는 상황은 아닌 것으로 파악했습니다.
기자 김소영, 에디터 양성원, 웹팀 이경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