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소식

홈 > 소식 > 새소식
새소식

시민사회 원로들,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진상규명 촉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1-07-29 09:58 조회2,126회

본문

시민사회 원로들,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진상규명 촉구

  •  이승현 기자
  •  
  •  승인 2021.07.28 20:12
 

지난 1923년 9월 1일 도쿄와 요코하마를 중심으로 한 간토(関東)지역에 일본 역사상 최대 규모의 지진이 발생했다. 

수십 만채의 건물이 순식간에 무너지고 강한 지진에 이은 폭풍, 화재로 인해 무려 20여 만 명이 죽거나 다쳤으며, 120여 만 명의 주민들은 집을 잃고 공포와 불안에 떨어야 했다.

당시 일본 정부는 심각한 사회·정치적 위기를 모면하기 위해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타고 약탈을 한다'는 등의 유언비어를 퍼트리고, 이를 진압한다는 명분으로 '전기계엄령'을 선포한 뒤 군·경과 민간인으로 구성된 '자경단'을 동원해 2만3,000여명(일부 6,000여명 주장) 이상의 조선인을 집단 학살했다.

조선인에 대한 혐오를 앞세워 일본 정부가 저지른 명백한 대량학살 범죄임에도 불구하고 100주기를 2년 앞두고 있는 지금까지 진상규명조차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

이만열 시민모임 독립 이사장을 비롯해 17개 독립운동 관련 단체 및 시민사회단체 원로들은 지난 27일 성명서를 발표해 1923년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의 진상규명과 추모사업을 요구했다.

이들은 100년이 다 되도록 진상공개는 물론 공식사과에 대해서도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는 일본정부의 무책임한 처사를 비판했다. 또 한국정부와 국회에도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에 대한 진상규명과 추모사업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시민모임 독립은 8월 한달 동안 평일 낮 12시부터 1시까지 서울시 종로구 중학동 일본대사관 앞에서 일본정부의 진상공개와 공식사과를 요구하는 1인시위를 진행한다.

또 우원식, 민형배, 서동용 국회의원은 8월 25일 '1923년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과 '대역사건''을 주제로 학술토론회를 열고 학살이 일어난 9월 1일을 국가추모일로 지정하는 결의안을 발의할 예정이다.

성명에는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 △김자동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장 △김정륙 광복회 사무총장 △김학민 오석 김혁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전 경기문화재단 이사장) △박만규 흥사단 이사장 △송인동 한국YMCA전국연맹 이사장 △윤경로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위원장 △윤석산 동학역사문화선양회 이사장 △이만열 시민모임 독립 이사장 △이종찬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건립위원장 △임재경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부회장 △장영달 몽양 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 이사장 △지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차영조 독립유공자유족회 부회장 △채수일 경동교회 담임목사(전 한신대학교 총장) △최인경 동학혁명정신선양사업단장△함세웅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이 이름을 올렸다.

1923년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에 대한 일본 정부의 진상공개와 공식사과를 촉구합니다. 아울러 한국 정부와 국회의 진상규명 노력과 희생자 추모사업도 요구합니다. (전문)

1923년 9월 10일, 대한민국 임시정부 외무대신 조소앙은 일본 총리 야마모토 곤노효 앞으로 공문을 발송했습니다. 간토 대지진 발생 이후 일본 군대와 민간자경단이 자행한 조선인 무차별 학살에 대한 항의 공문이었습니다. 

이 사건은 일본 정부가 계엄령을 내리면서 촉발한, 조선인에 대한 혐오범죄였습니다. 야만과 광기가 불러온, 천인공노할 조선인 학살사건이었습니다. 
 
당시 도쿄에 있던 천도교 청년회와 YMCA가 조직한 이재동포위문반(罹災同胞慰問班)이 발표한 조선인 희생자 수는 5천 명이었습니다. 임시정부 기관지 <독립신문>은 희생자 수를 6,661명으로 집계했습니다. 일본 정부도 사건을 인지했습니다. 일본 당국이 발표한 조선인 희생자는 233명이었습니다. 물론, 터무니 없이 축소된 숫자였습니다.

1948년 유엔 총회는 특정 집단을 대량학살(Genocide)하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하는 국제협약을 통과시켰습니다. 일본의 난징 대학살과 나치의 유태인 학살이 제노사이드 범죄로 규정됐습니다.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 역시 이 협약이 정한 명백한 제노사이드 범죄였습니다. 임시정부의 항의 공문은 이 만행을 규탄한 것이었습니다. 의열단원 김지섭의 1924년 1월 일본 도쿄 왕궁 폭탄 투척도 분노의 응징이었습니다. 

그러나 1945년 일제 패망 이후 일본 정부는 이 사건에 대한 진상공개와 공식사과 문제에 대해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습니다. 한국 정부의 무책임은 더합니다. 임시정부 항의 공문을 제외하고, 한국 정부는 이 사건에 대해 일본 정부를 향해 진상 공개를 요구한 적도, 사과를 요구한 적도 없습니다.

이승만 정부가 식민지 배상을 요구하기 위해 사건을 조사했지만, 1965년 한일협정 과정에서 이 문제는 전혀 언급되지 않았습니다. 공개적인 진상조사 요구는 오히려 일본 쪽에서 제기되었습니다. 2003년 일본변호사연합회가 간토대지진 조선인학살은 일본 정부가 유발한 책임이 있다며, 고이즈미 당시 총리에게 사죄와 진상규명을 권고했습니다. 사건 발생 80년 만에 일본 공공단체가 자국 정부의 책임을 인정한 것입니다. 

무책임한 처사에 대한 비판에서 한국 국회도 예외가 될 수 없습니다. 제19대 국회에서 2014년 ‘간토대지진 조선인학살사건 진상규명 및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안’이 여야의원 103명 명의로 발의되었다가 회기만료로 자동폐기된 이후, 지금까지 국회는 이 사건 언급을 회피하고 있습니다.

매해 9월 1일 도쿄 요코아미초 공원에서 일본시민단체가 주도하는 간토대지진 조선인 희생자 추도식이 열리지만, 한국 정부와 국회는 이 행사를 외면하고 있습니다. 일본 정부와 한국 정부, 국회에게 이 제노사이드 범죄는 공식적으로 ‘없는’ 사건입니다.  

2023년은 간토 대지진 조선인 학살 100주기가 되는 해입니다. 이제라도 일본 정부는 1923년 간토대지진 조선인 학살사건의 진상을 공개하고 공식 사과해야 합니다. 한국 정부와 국회도 나서야 합니다. 사건에 대한 자료 보존과 공개를 일본 정부에 요구해야 합니다. 아울러 9월 1일을 국가 추모일로 정하는 등 추모사업에 나서야 합니다.
 
100년이 다 되도록 구천을 떠돌고 있는 조선인들의 넋을 생각합니다. 억울함에 몸을 떨며 아우성치고 있을 그들입니다. 제노사이드 범죄에 공소 시효는 없습니다. 


2021년 7월 26일 

(가나다순)
김삼웅 (전 독립기념관장)
김자동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회장) 
김정륙 (광복회 사무총장)
김학민 (오석 김혁장군기념사업회 이사장/전 경기문화재단 이사장)
박만규 (흥사단 이사장)
송인동 (한국YMCA전국연맹 이사장)
윤경로 (전 한성대 총장/ 친일인명사전편찬위원회 위원장)
윤석산 (동학역사문화선양회 이사장/한양대 명예교수)
이만열 (시민모임 독립 이사장/전 국사편찬위원장)
이종찬 (국립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관건립위원장/우당교육문화재단 이사장)
임재경 (대한민국임시정부기념사업회 부회장)  
장영달 (몽양 여운형선생기념사업회 이사장)
지  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차영조(독립유공자유족회 부회장)
채수일(경동교회 담임목사/전 한신대학교 총장)
최인경 (동학혁명정신선양사업단장/최보따리인문포럼 대표)
함세웅 (민족문제연구소 이사장)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