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소식

홈 > 소식 > 새소식
새소식

문재인-김정은 친서 교환 “정상 간 신뢰” 재확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0-03-06 09:38 조회4,195회

본문

문재인-김정은 친서 교환 “정상 간 신뢰” 재확인

등록 :2020-03-05 20:41수정 :2020-03-06 02:10린트

 

김 위원장 “남녘 동포들의 소중한 건강 지켜지길”
김여정 담화 다음날…불만과 신뢰 엇갈린 신호
청와대 “한반도 둘러싼 정세 진솔한 소회도 밝혀”
문 대통령, 감사의 뜻 담은 답장 친서로 전달

 

세계적으로 대유행 조짐을 보이는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친서를 주고받았다. 남북관계가 장기 교착의 수렁을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정상 간 신뢰를 재확인한 의미”가 있다고 정부 고위 관계자는 평가했다.김 위원장은 4일 문 대통령한테 보내온 친서에서 “남녘 동포들의 소중한 건강이 지켜지기를 빌겠습니다. 반드시 이겨낼 것으로 믿습니다”라며 “코로나19 바이러스와 싸우고 있는 우리 국민에게 위로의 뜻을 전해왔다”고 5일 윤도한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이 발표했다. 김 위원장은 “문 대통령의 건강을 걱정하며 마음뿐일 수밖에 없는 상황에 안타깝다는 심정을 표했으며, 문 대통령이 코로나19를 반드시 극복할 수 있도록 조용히 응원하겠다며 문 대통령에 대한 변함없는 우의와 신뢰를 보냈다”고 윤 수석은 전했다. 아울러 김 위원장은 “한반도를 둘러싼 정세에 대해 진솔한 소회와 입장도 밝혔다”고 윤 수석은 덧붙였다.

 

문 대통령은 “감사의 뜻을 담은 친서를 오늘(5일) 김정은 위원장에게 보냈다”고 윤 수석은 밝혔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남북이 평화를 추구하고 있고, 관계를 잘 유지하는 게 중요하다고 여겨 친서 교환이 이뤄지는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의 친서는 그리 길지 않으며 현안을 구체적으로 언급하기보다 원론적 견해를 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번 남북 정상의 친서 교환은, 국가정보원과 통일전선부 사이의 비공개 직통 창구로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친서’ 교환 공개는 넉달여 만이다. 김 위원장이 모친상을 당한 문 대통령한테 지난해 10월30일 ‘조의문’을 보내오고, 엿새 뒤인 11월5일 문 대통령이 답신을 보냈다.

 

김 위원장의 친서는, 여동생인 김여정 조선노동당 중앙위 제1부부장이 청와대를 맹비난한 첫 개인 담화(3일 밤)를 내고 하루도 지나지 않아 남쪽에 전달된 것이다. 김여정 제1부부장은 북쪽 인민군 포병 훈련과 ‘단거리 발사체’ 발사(2일)에 정부가 “강한 우려”와 “중단 촉구”를 밝힌 대목을 겨눠 “자기들은 군사적으로 준비돼야 하고 우리는 군사훈련을 하지 말라는 소리”라며 “남측 전체에 대한 우리의 불신과 증오, 경멸만을 더 증폭시킬 뿐”이라고 맞받았다.

 

이런 사정 탓에 북쪽의 의중이 뭐냐를 두고 여러 말이 오가자 청와대 관계자는 “둘은 서로 차원이 다른 문제”라고 짚었다. 남북 정상 차원의 ‘신뢰 관계’ 지속과 그 밖의 다른 문제에서의 불만 표출은 격과 성격이 다른 문제라는 지적이다. 이는 북-미 관계에서 김 위원장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친서를 주고받으며 ‘신뢰 관계’를 지속하면서도, 외무성 등이 나서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 등을 맹비난하는 방식을 연상케 하는 측면이 있다.

 

이 때문에 이번 남북 정상의 친서 교환을 계기로 장기 경색 국면의 남북관계가 곧바로 개선의 급물살을 타리라는 기대는 ‘우물에서 숭늉 찾기’라는 지적이 많다. 코로나19와 관련한 정부 차원의 대북 지원이나 방역 협력을 위한 남북 당국 회담은 당장은 계획돼 있지 않다고 정부 고위 관계자는 말했다.

 

그럼에도 이번 남북 정상의 친서 교환은 ‘좋은 조짐’으로 여겨진다. 적어도 당분간은 한반도 정세를 뒤흔들 ‘북한발 대형 악재’ 발생 가능성을 낮춰 잡을 수 있으며, 남북 모두 코로나19 사태가 잦아들면 관계 개선을 도모해볼 여지가 커졌다는 것이다. 정부 고위 관계자는 “일단 코로나19 사태가 잠잠해져야 뭔가 도모해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 관계자도 “친서 교환을 계기로 금방 일이 풀리는 그런 상황은 아니다”라고 했다.

 

성연철 이제훈 기자 nomad@hani.co.kr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