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소식

홈 > 소식 > 새소식
새소식

한·미연합사 2021년 평택기지로···용산기지 편의시설은 10월 폐쇄(2019. 9.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9-09-02 16:48 조회6,841회

본문

한·미연합사 2021년 평택기지로···용산기지 편의시설은 10월 폐쇄

박성진 안보전문기자 longriver@kyunghyang.com
용산미군기지 전경/연합뉴스

용산미군기지 전경/연합뉴스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 있는 한·미연합사령부가 2021년 말까지 평택 미군기지(캠프 험프리스)로 이전될 전망이다. 한·미연합사 이전은 한미 국방장관회담에서 이미 합이한 사항이다. 서울 용산기지 내 주한미군 장병 및 가족을 위한 편의시설도 오는 10월 1일부로 대부분 폐쇄된다. 

한·미연합사 평택기지 이전 계획 수립은 문재인 정부 임기 마지막 해인 2022년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을 염두에 둔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한미연합사 2021년 평택 이전  

·문재인 정부 임기 마지막해인 2022년 전작권 전환과 연계  

·연합작전센터 2020년 구축···인도태평양사령부 및 주일미군사령부와 연결
 

1일 한·미연합사와 국방부, 합동참모본부 등에 따르면 한·미는 최근 한·미연합사 본부를 2021년까지 평택 미군기지로 이전하는 계획을 세운 것으로 전해졌다. 이 계획은 오는 10월 말 또는 11월 초 서울에서 열리는 제51차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 최종 승인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경두 국방부 장관과 패트릭 섀너핸 전 미국 국방부 장관 대행은 지난 6월 3일 서울에서 국방장관회담을 갖고 연합사 평택 이전을 합의한 바 있다. 이후 한·미는 연합사 이전 공동실무단에서 실무 협의를 진행해 2021년 말까지 이전하는 데 사실상 합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재 연합사가 있는 용산 미군기지는 연말까지 모든 서비스 업무가 종료될 예정이다. 연합사 본부와 드래곤힐 호텔만 남는다. 주한미군사령부는 작년 6월 평택기지로 옮겨가 신청사에 입주했으며, 미 8군사령부는 2017년 7월에 평택으로 옮겼다.  

미측은 평택기지 안에 연합사가 입주할 건물 지하에 들어서는 연합사 작전센터(Operation Center)를 내년 말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연합사 두뇌’ 역할을 하는 작전센터는 하와이의 인도·태평양사령부, 일본 요코다(橫田) 기지에 있는 주일미군사령부와 C4I(지휘·통제·통신) 체계로 연결된다. 

연합사 본부가 평택으로 이전하는 시기는 전작권 전환 예상 시기와 맞물려 주목된다. 전작권은 한국군이 전작권을 행사할 수 있는 핵심 군사 능력을 갖췄는지를 평가하는 기본운용능력(IOC) 검증에 이어 2020년 한국군 완전 운용능력 검증, 2021년 한국군 완전 임무 수행 능력 검증까지 거쳐 전환된다. 2021년 말까지 ‘한국군 완전 임무수행 능력’이 완벽한 것으로 검증될 경우 2022년 전작권 전환은 물리적으로 가능해진다. 
 

■용산기지 편의시설 폐쇄  

·10월까지 병원·세탁소·수영장·영화관 활동 종료 
 

서울 용산기지 내 주한미군 편의시설이 오는 10월 1일부로 대부분 폐쇄되면, 용산기지 반환 절차가 다음 달 SOFA(주한미군지위협정) 규정에 의한 행정절차 협의를 거쳐 10월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31일 주한미군에 따르면 용산기지에 있던 미 육군병원 진료 업무는 10월 1일 종료된다. 새 병원은 경기 평택의 캠프 험프리스에 신축했으며, 응급실 등 첨단 의료장비를 갖췄다. 새 병원은 오는 11월 15일 평택기지에서 문을 열 예정이다.  

용산기지내 장병 세탁소도 내달 28일까지 영업을 하고, 10월 1일 문을 닫을 예정이다. 

현역과 예비역 생활전환 지원 프로그램(SFL-TAP) 업무를 담당하는 용산사무소도 31일부로 폐쇄됐다. 해당 업무는 앞으로 평택기지에서 맡게 된다. 야외 수영장도 내달 4일 폐쇄된다. 기지내 영화관은 이미 7월에 문을 닫았다.  

주한미군 관계자는 “올해 연말까지 용산기지내 모든 서비스가 종료된다”고 전했다. 용산기지 편의시설 대부분이 10월 1일 폐쇄되면서 용산기지 반환 절차도 속도를 낼 것으로 보인다. 앞서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전날 오후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상임위원회의를 열고 용산기지 등 26개 미군기지에 대한 조기 반환을 적극 추진하기로 했다.
 

 

용산기지 평택 이전 홀로 남은 한미연합사는 언제

등록 :2019-09-01 18:43수정 :2019-09-01 20:36

 

전작권 전환과 연계 2022년까지 이전될 것 관측도
주한미군사령부와 미8군사령부는 이미 평택으로
용산기지에서 이뤄졌던 서비스 업무는 속속 종료
지난해 11월2일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서 열린 ‘용산기지 첫 버스투어’ 참가자들이 일제강점기 일본군 감옥으로 쓰인 위수감옥을 둘러보며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의 설명을 듣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1904년 일제가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용산 일대를 조선주차군사령부 주둔지로 사용한 이후 114년간 일반인 출입이 금지됐던 용산 미군기지 내 주요 장소를 버스로 둘러보는 행사를 진행했다. 연합뉴스
지난해 11월2일 서울 용산 미군기지에서 열린 ‘용산기지 첫 버스투어’ 참가자들이 일제강점기 일본군 감옥으로 쓰인 위수감옥을 둘러보며 유홍준 전 문화재청장의 설명을 듣고 있다. 국토교통부와 서울시는 1904년 일제가 러일전쟁을 기점으로 용산 일대를 조선주차군사령부 주둔지로 사용한 이후 114년간 일반인 출입이 금지됐던 용산 미군기지 내 주요 장소를 버스로 둘러보는 행사를 진행했다. 연합뉴스
정부가 서울 용산 미군기지 반환 절차를 올해 안에 시작하겠다고 밝힘에 따라 한미연합사령부의 평택기지(캠프 험프리스) 이전이 더욱 빨라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현재 용산기지에선 각종 미군 편의시설이 속속 문을 닫고 있어 올해가 지나면 한미연합사와 미군들의 숙소로 쓰이는 드래곤힐 호텔만이 남게 된다. 주한미군사령부는 지난해 6월, 미8군사령부는 그보다 1년 정도 앞선 2017년 7월 평택기지로 옮아갔다.

 

한미연합사 이전은 문재인 정부 임기 안에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는 전시작전통제권(전작권) 전환과 맞물려 있다는 게 일반적인 관측이다. 군 관계자는 1일 “전작권 전환이 이뤄지면 한반도 유사시 한국군 대장이 사령관을 맡는 이른바 미래연합사 구조가 작동한다”며 “그에 맞춰 한미연합사와 주한미군의 작전 효율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한·미는 최근 실시한 하반기 연합 지휘소연습에서 한국군의 기본운용능력(IOC)을 검증한 데 이어 2020년엔 완전운용능력 검증, 2021년엔 완전임무수행능력 검증을 진행할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연합사 이전의 핵심은 작전센터 구축이다. 하와이의 인도·태평양사령부와 일본 요코타의 주일미군사령부를 연결하는 이 작전센터가 들어서야 연합사가 제대로 기능하기 때문이다. 국방부 관계자는 “작전센터는 연합사의 두뇌에 해당한다”며 “작전센터 구축 과정에서 비용과 일정이 늘어날 수 있어 현재로선 연합사 이전 시기를 확정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미연합사는 한때 용산에 있는 국방부 영내로 이전하는 방안이 추진됐으나, 지난 6월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 평택기지로 옮기기로 최종 합의했다. 당시 미국은 용산에 연합사가 남을 경우 미군 가족들의 거주에 어려움이 생기고, 평택기지와의 연계성이 떨어진다는 점을 지적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미연합사는 평택기지에 새로 건물을 짓지 않고 기존 건물에 입주할 것으로 알려졌다. 연합사 이전 일정은 10월 말 또는 11월 초 서울에서 열리는 제51차 한-미 안보협의회의(SCM)에서 구체화될 것으로 보인다.

 

주한미군사령부와 미8군사령부가 평택으로 옮아간 이후 용산기지에선 미군들에 대한 서비스 업무가 속속 종료되고 있다. 영화관이 이미 7월에 문을 닫았고, 현역과 예비역을 대상으로 생활 전환 지원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용산사무소도 8월 말 폐쇄됐다. 육군병원 진료 업무와 세탁소 운영도 다음달 1일 종료한다. 용산기지 안에 있는 서울아메리칸 초·중·고교는 2018~2019년 과정을 마지막으로 폐교하기로 했다.

 

한·미가 용산기지 반환 절차에 착수하더라도 실제 반환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애초 정부는 2019년부터 용산기지 일대 토양에 대한 정화 작업을 시작하고, 2022년부터 본격적인 공원 조성에 들어가 2027년까지 공사를 마무리한다는 계획을 세웠지만, 환경오염 정화 비용 등에 대한 이견으로 협의가 진행되지 않았다. 국방부 관계자는 “올해 용산기지 반환 절차를 개시하더라도 이후 반환계획 수립, 환경조사 및 환경협의, 오염 정화 등의 절차를 거쳐야 한다”며 “용산기지 반환까지는 넘어야 할 고개가 많다”고 말했다.

 

유강문 선임기자 moon@hani.co.kr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