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소식

홈 > 소식 > 새소식
새소식

대통령실 "오늘 중 대북 확성기 방송 실시‥전적으로 북한의 책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4-06-09 20:08 조회204회

본문

6년 만에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긴장 고조 책임은 북한에"


입력 2024-06-09 19:59 | 수정 2024-06-09 20:00
앵커

정부가 북한의 오물풍선 도발에 대북 확성기 방송으로 맞대응했습니다.

지난 2018년 문재인 정부 때 철거된 이후 6년 만에 재개된 확성기 방송이었는데요.

정부는 남북 간 긴장 고조의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 측에 달려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구승은 기자입니다.

리포트

우리 군이 오늘 오후 북한을 향해 확성기 방송을 실시했습니다.

어젯밤 북한이 오물풍선 살포를 재개함에 따라 가장 강력한 대북 심리전에 나선 겁니다.

합동참모본부는 앞으로 확성기 방송의 추가 실시 여부는 북한의 행동에 달려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실은 오늘 오전 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의를 열고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를 결정했습니다.

대통령실은 "우리 국민의 불안과 사회의 혼란을 야기하려는 어떤 시도도 용납할 수 없다"며, "강력한 대응을 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면서 "한반도 긴장 고조의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에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김수경/대통령실 대변인]
"정부는 북한의 어떠한 도발에도 확고하고 빈틈없는 대비 태세를 유지할 것이며, 우리 국민 안전과 국가 안보에 만전을 기해 나갈 것입니다."
대북 확성기 방송 재개는 이미 일주일 전부터 예고된 조치였습니다.

정부는 지난 2일 NSC 상임위원회의를 열어 "북한이 감내하기 힘든 조치에 착수하겠다"고 했고, 이틀 뒤 국무회의에서 9·19 군사합의 전체 효력을 정지하며 대북 확성기 방송과 관련한 법적 규제를 풀었습니다.

지난 2018년 문재인 정부에서 판문점 선언, 9·19 군사합의 이후 철거된 지 6년 만입니다.

신원식 국방부 장관은 NSC 회의 직후 전군 주요 지휘관 회의를 열었습니다.

대북 확성기 방송을 빌미로 북한이 직접적인 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에 철저히 대비하라고 지시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의 직접 도발 시에는 '즉각, 강력히, 끝까지 원칙'에 따라 단호하게 응징하라"고 강조했습니다.

북한의 추가 도발에 정부가 결국 '강 대 강' 카드를 꺼냈지만, 섣부른 대북 방송이 북한을 지나치게 자극해 국지전 등 한반도에서의 군사적 충돌 위험까지 높이게 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MBC뉴스 구승은입니다.

대통령실 "오늘 중 대북 확성기 방송 실시‥전적으로 북한의 책임"


입력 2024-06-09 13:10 | 수정 2024-06-09 14:08
대통령실 "오늘 중 대북 확성기 방송 실시‥전적으로 북한의 책임"
북한이 또다시 남쪽으로 오물풍선을 살포함에 따라 대통령실은 북한을 향한 확성기 방송을 재개한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실은 오늘 오전 장호진 국가안보실장 주재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 상임위원회를 열고 "우리 국민의 불안과 사회 혼란을 야기하는 어떤 시도도 용납할 수 없다"며 "오늘 중으로 대북 확성기를 설치하고 방송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습니다.

대통령실은 "앞으로 남북 간 긴장 고조의 책임은 전적으로 북한 측에 달려있을 것임을 분명히 한다"고 경고하며, "정부는 어떠한 도발에도 확고하고 빈틈없는 대비 태세를 유지해 국민 안전과 국가 안보에 만전을 기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앞서 정부는 지난 4일 9·19 군사합의 전체 효력을 정지함으로써 대북 확성기 방송을 포함해 접경지 인근 군 활동을 제약하는 모든 규정을 풀었습니다.

이후 군은 고정식 확성기와 이동식 확성기를 언제든 재가동할 수 있게 준비를 마친 상태였습니다.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