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소식

홈 > 소식 > 새소식
새소식

김정은-시진핑 ‘비핵화 협상 플랜’ 공유…중국 역할론 재부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9-01-11 10:41 조회4,277회

본문

김정은-시진핑 ‘비핵화 협상 플랜’ 공유…중국 역할론 재부상

등록 :2019-01-10 20:51수정 :2019-01-10 21:33

 

“한반도 정세관리와 비핵화 협상 공동으로 연구조종”
“합리적 관심사항 해결” 미국의 상응조처 논의한 듯
김정은의 평양 초청에 시진핑 “구체적 계획 통보”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4차 방중 소식을 사진과 함께 보도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 부부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부부가 김 위원장의 생일이기도 한 8일 오후 중국 베이징에서 만찬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북한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10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4차 방중 소식을 사진과 함께 보도했다. 사진은 김 위원장 부부와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부부가 김 위원장의 생일이기도 한 8일 오후 중국 베이징에서 만찬을 하는 모습. 연합뉴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만나 비핵화 의지를 재차 확인했다. 또 2차 북-미 정상회담에 앞서 시 주석과 ‘비핵화 협상 플랜’을 공유하고 조율을 마무리한 것으로 보인다. 중국 역할론이 강조된 점도 눈길을 끈다.

 

<조선중앙통신>(중통)은 지난 8일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김 위원장과 시 주석의 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이) 공동의 관심사로 되는 국제 및 지역문제 특히 조선(한)반도 정세관리와 비핵화 협상 과정을 공동으로 연구 조종해 나가는 문제와 관련하여 심도있고 솔직한 의사소통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북쪽이 비핵화 문제를 두고 “(중국과) 공동으로 연구 조종”한다는 표현을 쓴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여기에 김 위원장이 “조-미 관계 개선과 비핵화 협상 과정에 조성된 난관과 우려, 해결전망”에 대해 말했다는 대목을 더하면, 시 주석과 북-미 간의 비핵화-관계정상화 협상 ‘플랜’ 전반을 공유하고 상당히 구체적 논의를 했다는 해석이 가능하다.

 

김 위원장이 어떤 해결전망을 밝혔는지, 또한 두 정상이 ‘공동으로 연구 조종하는 문제’에 대한 어떤 수준까지 합의를 했는지는 공개되지 않았다. 다만 김 위원장이 2차 북-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자신의 구상을 밝혔으며 이에 대한 시 주석의 동의를 얻은 것은 분명해 보인다는 데 무게가 실린다. 한반도 문제에 정통한 전직 정부 고위관계자는 “김 위원장이 2차 북-미 회담에서 (미국 쪽에) 내놓는 것은 무조건 중국의 입장이 반영된 것으로 봐야 한다”고 풀이했다.

 

시 주석이 ‘방북 계획을 통보’했다는 점에서도 두 정상이 북핵 해법에 대해 상당한 의견 일치를 봤다는 해석도 있다. 그동안의 중국 입장에 비춰보면 북한의 명확한 비핵화 의지나 조처가 없으면 미국을 의식하고 있는 시 주석의 방북이 어려울 것이라는 게 대체적인 관측이었기 때문이다. 이관세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장도 “미-중 경제대화가 (베이징에서) 열리는 가운데 북-중 정상회담을 했다는 것은 중국이 미국과도 (김 위원장의 방북에 대해) 상당히 조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북-미 비핵화 협상 및 한반도 문제를 둘러싼 중국의 역할이 강조된 점도 도드라진다. 중국도 북-미 관계에 더 깊이 관여하겠다는 뜻을 감추지 않았다. 시 주석은 “(중국은) 반도의 평화와 안정, 반도의 비핵화 및 지역의 장기적인 안정 실현을 위해 적극적이고 건설적인 역할을 하고 싶다”고 말했다. 이는 김 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언급한 ‘평화체제 구축을 위한 다자협상’도 염두에 둔 발언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북-중 정상은 김 위원장의 ‘비핵화 플랜’과 함께 미국의 상응조처에 대해서도 깊이 협의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측이 주장하는 원칙적인 문제들은 응당한 요구이며, 조선측의 합리적인 관심사항이 마땅히 해결되어야 한다는 데 대하여 전적으로 동감하며, 유관측들이 이에 대해 중시하고 타당하게 문제를 처리하는 것이 올바른 선택”(<중통>)이라는 시 주석의 발언에서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신년사를 비롯한 북쪽의 기존 입장에 비춰볼 때 대북 제재 완화, 평화체제 구축을 포함한 체제안전보장 등 북한의 일련의 조처에 대응한 미국의 상응조처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김 위원장이 북-미 간 교착을 타개하고 2차 북-미 정상회담으로 나아가는 ‘복안’으로 무엇을 제시했을지 관심이 쏠리는 가운데 공은 다시 미국으로 넘어갔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