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12일 시범철수GP 검증반 상호투입…정전협정 이후 최초(종합2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12-07 10:16 조회11,935회관련링크
본문
남북, 12일 시범철수GP 검증반 상호투입…정전협정 이후 최초(종합2보)
- 기사입력2018/12/06 17:02 송고
軍 "北GP 지하시설 검증 인력·장비 투입"…지하투과레이더 등 검토
(서울=연합뉴스) 김귀근 기자 = 남북 군사 당국은 시범적으로 철수키로 하고 최근 파괴작업을 끝낸 11개의 감시초소(GP) 마다 각각 7명으로 구성된 검증반을 오는 12일 투입해 철수 및 파괴 결과를 상호 검증하기로 합의했다.
11개조 총 154명의 검증반은 현역군인과 민간인으로 구성되며, 파괴된 남북 GP를 연결하는 '오솔길 통로'를 새로 만들어 그 길로 이동하게 된다. 남북이 1953년 7월 정전협정 체결 이후 비무장지대(DMZ) 내에 설치된 GP를 상호 방문해 들여다보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서주석 국방부 차관은 6일 브리핑을 통해 "남북 군사 당국은 '9·19 군사분야 합의서' 이행의 일환으로 이뤄진 각 11개 GP의 시범 철수 및 파괴조치를 12일 현장방문 형식으로 상호 검증하는 데 합의했다"고 밝혔다.
남북 군사 당국은 이번 상호방문 검증을 위해 하나의 GP마다 각각 7명으로 구성한 검증반을 투입하기로 했다. 각 검증반은 대령급(북측 대좌급)을 반장으로 하며, 검증 요원 5명과 촬영 요원 2명으로 구성된다.
서 차관은 "즉, 총 11개의 초소에 남북 각각 77명의 인원이 검증에 참여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오는 12일 각각의 남북 검증반은 상호 합의된 군사분계선 상의 연결지점에서 만난 후 상대측의 안내에 따라 해당 초소 철수현장을 직접 방문해 철수 및 철거 상황을 검증하게 된다"면서 "오전에는 우리 측이 북측 초소 철수현장을, 오후에는 북측이 우리측 초소 철수현장을 각각 방문한다"고 전했다.
남북 11개 조의 총 154명이 오전과 오후로 나눠 남북을 오가며 상호검증 작업을 펼치게 되는 것이다. 현역군인은 각각 최소 55명가량이다.
이에 서 차관은 "남북 검증반의 상호방문을 위해 남북의 해당 초소를 연결하는 임시 통로를 새롭게 만들 예정"이라고 밝혔다.
국방부 관계자는 "시범 철수한 GP와 GP의 거리가 모두 1㎞ 이내여서 도보로 이동한다"며 "이번 주부터 오솔길 규모의 새로운 임시 통로 개척 작업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서 차관은 "남북 현역군인들이 오가며 최전방 초소의 완전한 파괴를 검증하게 될 새로운 통로가 그동안 분열과 대립, 갈등의 상징이었던 비무장지대를 평화지대로 바꾸는 새 역사의 오솔길이 되기를 기대한다"라고 의미를 부여했다.
그러면서 "최전방 감시초소의 철수 및 파괴라는 역사적 조치에 이어 상호방문을 통한 군사합의 이행 검증이라는 또 하나의 분단사 최초 합의에 이르게 됐다"고 강조했다.
서 차관은 "이번 상호방문 검증은 군사합의 이행과정에서 구축된 남북 군사 당국 간의 신뢰를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라며 "국제 군비통제 노력에 있어서도 매우 드문 모범사례로서, 합의 이행에 대한 일부의 우려를 불식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남북 군사 당국은 그동안 수차례의 실무접촉과 문서교환을 통해 상호검증 문제를 건설적으로 협의해 왔고, 이 과정에서 군사합의 이행의 투명성 확보가 상호 신뢰를 더욱 확고히 하는 데 필수적이라는 인식을 공유했다"면서 "앞으로도 우리 군은 확고한 안보태세를 유지한 가운데 한반도 평화프로세스를 군사적으로 굳건히 뒷받침 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남북 시범 철수 GP 상호검증 작업은 시설물이 완전히 복구될 수 없을 정도로 파괴됐는지, 군사시설로 전용될 수 없도록 불능화됐는지에 중점을 두고 이뤄진다. 특히 지하시설로 구축된 북측 GP의 지하 공간에 대한 검증도 핵심으로 꼽힌다.
북측은 굴착기를 동원한 우리와 달리 폭파 방식으로 GP를 파괴했기 때문에 지하까지 매몰되어 검증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란 지적이 나온다.
지하시설의 형태 등을 탐지할 수 있는 장비로는 지하투과레이더(GPR:Ground Penetrating Radar)와 지하로 구멍을 뚫어 내리는 내시경카메라 등이 꼽힌다. GPR은 고주파 신호를 지하로 보내 지하 내부 및 구조물에 대한 정보를 파악하는 장비다.
두 장비 모두 휴대할 수 있다. 군은 GPR과 같이 휴대할 수 있는 장비를 투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국방부 관계자는 "(지하시설 검증을 위한) 전문가와 관련 장비가 투입될 것"이라며 "공병 전문가와 지하시설 검증 임무 수행이 가능한 인력이 참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해당 초소 안으로 병력과 화기가 들어가지 못하도록 파괴했는지를 철저히 검증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우리 측은 군사합의서 이행 평가 뿐 아니라 무력증강 중지, 서해 평화수역 설정 등을 논의할 남북군사공동위원회를 가급적 연내에 구성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국방부 관계자는 "현재 우리 측의 안을 만들어 유관 부처와 논의하고 있으며, 이 과정이 끝나면 북측과 상호 입장을 교환하게 될 것"이라며 "각자 안이 만들어지면 문서교환 방식으로 협의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군사공동위 구성 시기에 대해서는 "연내 군사공동위 개최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언급해 내년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했다.
threek@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