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소식

홈 > 소식 > 새소식
새소식

외교부, 북 재외공관 53→46개 축소,,,“경제적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3-12-06 09:54 조회884회

본문

외교부, 북 재외공관 53→46개 축소,,,“경제적 이유”


  •  김치관 기자
  •  
  •  승인 2023.12.05 16:54
 

당국자 “북한 공관 외화벌이 활동 어려워짐에 따라...”

외교부는 북한(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재외공관이 53개에서 46개로 줄어든 것으로 파악했다. 기니, 네팔, 방글라데시, 세네갈, 스페인, 방글라데시, 우간다에서 공관을 철수했다는 것.

외교부 관계자는 5일 오후 기자들에게 “이번에 감축된 북한 공관 수는 전체의 10%가 넘는 큰 비중”이라며 “기니와 세네갈은 이번에 처음으로 우리가 언론에 공개한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철수 여부를 △주재국에 철수 의사 공식 통보 △공관 건물에 국기와 현판 제거 △공관원 출국 등 3가지 기준을 모두 충족한 경우로 판단했다.

2005년 6자회담 당시의 베이징 소재 주중국 북한대사관 모습. [자료 사진 - 통일뉴스]
2005년 6자회담 당시의 베이징 소재 주중국 북한대사관 모습. [자료 사진 - 통일뉴스]

일부 공관은 이같은 기준을 다 충족하지는 않았지만 사실상 철수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외신이 보도한 콩고민주공화국과 홍콩은 여기에 해당하고, 2017년 6차 핵실험 이후 북한 외교관을 모두 추방한 페루의 경우도 대사관 건물이 유지되고 현판도 달려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지난 7월 말 상호 대사관 개설에 합의한 니카라과의 경우는 대사관 개설 여부가 불투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교부 관계자는 “북한의 재외공관이 개편되고 있는 배경에는 아무래도 경제적 이유가 가장 큰 것 같다”고 진단하고 “그간 국제사회의 대북 제재 강화로 인해서 재외공관에서 외화벌이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또한 북한의 재정난도 있기 때문”이라고 주로 경제적 이유에 방점을 찍었다.

반북단체의 습격을 받은 바 있는 스페인을 제외하면 주로 서남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 대사관으로 ‘외화벌이’에 관계된 것으로 파악한 것.

외교부 관계자는 “과거 아프리카 지역에서 외화벌이가 가장 많이 있었고, 심지어는 상아, 금수품까지 밀수하면서 북한 공관에서 외화벌이를 많이 했었는데 그런 활동이 더욱 어려워짐에 따라서 우선적으로 여기를 폐쇄했다”면서 “북한이 실질적으로 이런 나라를 통해서 더 이상 운영비조차 조달하기 어렵기 때문에 (폐쇄)하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한미 정보기관은 북한이 재외공관을 거점으로 위조지폐와 슈퍼노트, 관세가 높은 가짜 술과 담배 등을 유통한 것으로 보고 추적해왔으며, 금지돼 있는 공관 시설의 일부 임대 수익료 등 현지 실정에 맞는 다양한 외화벌이 활동을 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 북한에 대한 불법 자금 획득 차단 노력이 어느 정도 효과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라거나 “북한이 과거에 불법적인 외화벌이를 해오면서 그러한 사실이 누적되면서 해당 국가와의 외교관계에도 부담을 느끼게 된 것도 하나의 원인”이라고도 해석했다.

이 당국자는 “아마 북한은 외무성 대변인이 발표한 대로 외교적 역량을 효율적으로 배치하는 그런 노력을 할 것으로 보인다”며 “아무래도 공관이 줄다 보니까 기존 공관에 겸임국 공관 수가 그만큼 늘어나야 될 것으로 본다”고 덧붙였다.

앞서 지난달 3일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재외공관 ‘조절사업’에 대한 <조선중앙통신> 기자의 질문에 “최근 우리는 변화된 국제적 환경과 국가 외교 정책에 따라 다른 나라 주재 외교 대표부들을 철수 및 신설하는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국가의 외교적 역량을 효율적으로 재배치하고 운용하는 것은 주권국가들이 대외관계에서 국익 증진을 지향하여 진행하는 정상적 사업의 일환”이라고 ‘조절’임을 강조한 바 있다.

외교부 관계자는 “중국, 러시아하고 특히 밀착하는 그런 경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러시아 공관이나 총영사관에서의 활동이 좀 더 활발해지지 않겠느냐”면서 “동남아나 일부 서남아 지역에서 기존의 조그마한 공관을 폐쇄하면서 그 기능과 역할을 흡수하게 되는 공관의 거점 체제로 더 나가지 않을까 하는 상황이지만 조금 더 북한의 동향을 주시하는 것으로 봐야 할 것 같다”고 전망했다.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