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중국 외교부
한국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의 권고로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가 국내 신규 서비스가 잠정 중단한 것을 두고 중국 정부가 “기술 문제를 정치화하지 않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궈자쿤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중국 정부는 일관되게 중국 기업에 현지 법규를 엄격히 준수하는 기초 위에서 해외 운영을 하라고 요구해왔다는 점을 강조하고 싶다”며 “우리는 또한 관련 국가(한국)가 경제·무역·과학·기술 문제를 안보화·정치화하지 않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국 개인정보보호위는 이날 딥시크 애플리케이션(앱)의 국내 서비스가 지난 15일 오후 6시부터 잠정 중단됐다고 밝혔다. 이어 한국 법규에 따른 개선·보완이 이뤄진 뒤 서비스가 재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딥시크가 자발적으로 서비스 중단 조치를 한 것은 한국이 처음이다.
개인정보위는 “이번 딥시크 앱 잠정 중단은 앱마켓에서 신규 앱 다운로드를 제한하는 것”이라며 “기존 이용자는 최종 결과 발표 전까지는 딥시크 입력창(프롬프트)에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않는 등 신중하게 이용해달라”고 당부했다.
앞서 개인정보위는 딥시크 관련 논란이 커지자 지난달 31일 딥시크 중국 본사에 해당 서비스의 개발 및 제공 과정에서 데이터를 수집·처리하는 방식 등에 관한 공식 질의를 보내고, 자체 분석에도 착수했다.
개인정보위는 이용자 정보가 틱톡의 모회사인 중국의 바이트댄스로 넘어간 사실 등을 파악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