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소식


소식

홈 > 소식 > 새소식
새소식

정동영 "대북 '유화책' 표현은 부정확…정상화·안정화 조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25-08-13 11:04 조회18회

본문

정동영 "대북 '유화책' 표현은 부정확…정상화·안정화 조치"


송고 2025년08월12일 18시38분

남북경협·교역·금강산 기업단체 면담

정동영 장관, 경협·교역·금강산 기업 단체 면담
정동영 장관, 경협·교역·금강산 기업 단체 면담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협·교역·금강산 기업 단체 면담에서 김기창 한반도교역투자연합회장(왼쪽 다섯번째) 등 참석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2025.8.12 uwg806@yna.co.kr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은 이재명 정부 출범 후 단행한 전단 살포 중지와 확성기 철거 같은 조치에 대해 "대북 유화책이 아니라 긴장 완화와 평화 정착을 위한 정상화 조치"라고 12일 밝혔다.

정 장관은 이날 정부서울청사 장관실에서 열린 '경협·교역·금강산기업단체 면담'에 앞서 취재진과 만나 "(선제 조치들을) 대북 유화책이라고 쓰는 언론이 많은데 정확한 표현이 아닌 것 같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백낙청 선생은 지난 3년을 변칙적 사태, 변칙적 정권이라고 했는데 내치만 변칙적으로 한 게 아니라 남북관계도 완전히 변칙적으로 파괴했다"며 새 정부의 조치들은 "비정상 상태를 정상으로 돌리고자 하는 정상화, 안정화, 신뢰구축 조치"라고 거듭 강조했다.

이어진 면담에서 정 장관은 중단된 지 만 17년이 지난 금강산 관광을 거론하며 "경협사업 참여가 결과적으로 물적, 심적 피해와 고통으로 돌아온 데 대해 안타깝고 송구하다"며 기업인들을 위로했다.

그러면서 "금강산 관광이 지속됐더라면 올여름 (북한의) 원산갈마지구 개장과 더불어 한반도 풍경이 달랐을 거라는 아쉬움이 크다"고 했다.

이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과거 남쪽 정권을 향해 '강 대 강, 선 대 선' 방침을 여러 차례 언급했다며 "북한은 자신들을 적으로 삼고 선제타격 운운하고 붕괴론과 흡수통일을 앞세우는 정권에는 강 대 강으로 맞섰지만 상대를 존중하고 인정하는 선한 조치로 나가면 우리에게 선하게 응대할 것"이라고 낙관했다.

백두산 천지 사진 받는 정동영 장관
백두산 천지 사진 받는 정동영 장관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12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협·교역·금강산 기업 단체 면담에서 백두산 천지 사진을 받고 있다. 2025.8.12 uwg806@yna.co.kr

이날 면담에는 금강산기업협회, 금강산투자기업협회, 남북경제협력연구소, 남북경제협력협회, 남북경협경제인연합회, 민간남북경제교류협의회, 민간남북경제교류협의회 등 경협·교역·금강산 기업단체 대표자들이 참석했다.

이들은 개성공단 가동 전에 북한에 투자한 기업들이 보험 등 제도 미비로 큰 손실을 봤다며 이제라도 제대로 보상해달라고 정 장관에게 요청했다.

tree@yna.co.kr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