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소식

홈 > 소식 > 자료실
자료실

北 전력난, 동북아 슈퍼그리드·자가 태양광으로 해결(2018. 5.7)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07-26 14:46 조회4,231회

본문

北 전력난, 동북아 슈퍼그리드·자가 태양광으로 해결

문지웅,황순민 입력 2018.05.06 17:42 수정 2018.05.07 18:42

◆ 한반도 경제공동체 만들자 ⑥ ◆

한반도의 '영구적 평화'를 향한 훈풍이 불면서 동북아시아 국가 전력망을 잇는 '꿈의 에너지 벨트'인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에 대한 기대감이 고조되고 있다.

6일 재계에 따르면 남북 경제 협력 재개 가능성이 점차 높아지면서 육상망으로 북한 지역을 통과하는 슈퍼그리드 사업 현실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남북 경협 초기에는 에너지와 인프라스트럭처 등 굵직한 기반 산업을 중심으로 주요 투자가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슈퍼그리드에 대한 기대감을 높이는 요인이다.

한국, 중국, 몽골, 러시아를 잇는 광역 전력망인 '동북아 슈퍼그리드'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해저로 망을 만들기보다 북한 지역을 통과하는 육상망이 훨씬 이득이라는 분석이다. 남북 경협이 본격화하면 슈퍼그리드 사업 특성상 한국전력 등 공기업이 주도적으로 사업에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등에 따라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에서 가시적 성과를 내야 할 필요성이 커진 한전 내부에서도 남북 관계 개선 분위기를 주시하며 밑그림을 그리는 분위기가 감지된다. 원자력발전 비중 축소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전으로서는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주목하고 있다.

한전은 중·장기적 관점에서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을 추진해왔다. 이미 2006년 한국과 러시아 정부 간 전력에너지 분야 협의각서를 체결해 러시아와 공동 연구에 착수했다. 이후 2012년부터는 중국, 일본 등과 국가 간 계통연계 예비타당성 연구를 진행하면서 동북아 슈퍼그리드사업에 본격적으로 힘을 실었다.

2016년 3월엔 중국국가전망(SGCC), 일본 소프트뱅크, 러시아 로세티와 전력계통 연계 등에서 협력을 강화하는 양해각서를 체결했고 7월에는 소프트뱅크, 몽골 뉴컴과 신재생에너지 공동 개발을 위한 양해각서를 맺었다. 지난해 12월에는 문재인 대통령 중국 방문에 맞춰 SGCC, 이 회사가 설립한 중국 글로벌에너지연계개발협력기구(GEIDCO)와 동북아 슈퍼그리드를 실현하기 위해 '한중 전력계통 연계 사업개발 합의각서(MOA)'를 맺으면서 사업 추진에 본격적으로 속도를 내고 있다.

한전 관계자는 "동북아 슈퍼그리드 사업은 한전이 중·장기적으로 준비해온 사업"이라며 "기존에는 해저망으로 검토했는데 북한이 편입된다면 더 효율적으로 육상망을 구축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는 국가 간 외교·정치적으로 해결해야 현실화할 수 있는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미·북정상회담 일정이 남아 있고 남북 경협이 장기간에 걸쳐 이뤄져 국제적 위험 요인이 많은 사업인 만큼 신중론도 나온다.

에너지 협력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면서 '태양광' 사업 지원도 가시화할 전망이다. 남북정상회담 후 채택한 '판문점 선언'에는 철도와 도로 등 사회간접자본(SOC) 협력 방안이 포함됐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북한 발전설비용량은 766만㎾로 우리나라 1억587만㎾ 대비 7% 수준에 불과하다.

북한 인구가 우리나라 절반이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북한에서 에너지 부족 현상은 심각하다. 이 때문에 한밤에 인공위성에서 찍은 한반도 상공 사진을 보면 남쪽은 불빛이 환하지만 북쪽은 평양 일부를 제외하면 암흑에 가깝다.

전력을 확보하기 위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태양광과 태양열 등 자연에너지 활용을 강조하고 있다. 석탄, 액화천연가스(LNG) 등을 발전용 원료로 확보하기에는 경제적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특히 국제사회에서 대북 경제 제재 강도가 높아지면서 북한은 자연에너지 사용에 속도를 내고 있다.

실제로 김 위원장은 2016년 신년사에서 "자연에너지를 적극 이용해 전력 문제를 풀기 위한 사업을 힘있게 밀고 나가야 한다"며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전력 생산을 강조했다. 앞서 북한은 2013년 8월 '재생에네르기(에너지)법'을 제정해 태양광과 태양열을 활용한 전력 생산 확대를 위한 법적 토대를 마련했다. 2014년 10월에는 국가과학원 산하에 '자연에네르기 연구소'를 설립해 2044년까지 재생에너지 5000MW 확보를 목표로 제시했다.

이에 따라 평양, 나선 등 재정적 여유가 있는 북한 지역 주민들은 주로 중국에서 태양광 패널을 개별적으로 구입해 집에 설치한 후 가정 내 필수 전력을 확보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미국 내 북한 에너지 인프라스트럭처 전문가인 데이비드 폰 히펠 노틸러스연구소 연구원에 따르면 2014년 기준 북한 내 약 10만가구가 태양광 패널을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태양광을 통한 전력난 해소에 적극적이다.

[문지웅 기자 / 황순민 기자]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