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


소식

홈 > 소식 > 자료실
자료실

[한국보건사회연구소]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 네트워크 구조와 발전 방안-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작성일18-11-21 11:25 조회3,170회

첨부파일

본문

한국보건사회연구소 - 연구보고서

     

기본연구과제 결과물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과학적 엄밀성을 추구하는 연구내용이 중심이 되어 학문적인 기여도에서 우선한 보고서입니다.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 네트워크 구조와 발전 방안-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 네트워크 구조와 발전 방안-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하여

  • 연구책임자조성은
  • 발행월2018 . 03
  • 종류기본 연구보고서(수시) 2018-02
                                                   
    요약

 2018년 남북 관계의 급격한 회복과 이어진 북·미 관계 개선을 위한 노력이 한반도의 평화·번영으로 이어지기를 많은 이들이 바라고 있다. 평화체계가 정착되고 남북이 함께 번영하는 단계에 이른다면 아마도 그 시대를 이끌어 갈 주체는 지금의 아동 또는 앞으로 태어날 세대가 될 것이다.
북한은 1990년대 식량 위기 이후 상당 기간 동안 전 주민의 기본 생활이 보장되지 않는 위기 상황을 경험한 바 있다. ‘고난의 행군’으로 일컫는 시기에 태어나고 성장한 영유아·아동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은 지체되었고, 지체된 성장은 임신·출산 과정을 통해 다음 세대의 성장·발달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북한 핵 폐기를 둘러싼 북·미의 힘겨루기가 벌어지는 가운데 여전히 북한은 미국과 유엔의 제재 대상이며, 정부가 적극적으로 북한을 지원할 수 없는 상황이다. 따라서, 제한적이지만 비정부기구(NGO)를 활용하여 북한 지역 영유아·아동의 성장과 발달을 지원하는 것이 요구된다. 영유아·아동에 대한 지원은 인도적 차원뿐 아니라 한반도의 미래 인적자원에 대한 투자로서 그 의미가 매우 크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대북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의 전반적인 현황을 파악하고 여기에 참여하는 지원 기구들의 네트워크 관계를 분석하여 영유아 및 아동지원 사업의 발전 방안을 모색한다. 또한, 여러 국제기구의 최근 자료 분석 결과와 사회연결망 분석(SNA)을 통해 북한 영유아 및 아동지원 사업의 효율화를 위한 정책 방안을 담고 있다.

목차

 Abstract 1
요 약 3
제1장 서론 9
  제1절 연구 배경 및 목적 11
  제2절 연구 방법 13
제2장 북한의 임신, 출산 및 영유아·아동의 보건복지 현황과 실태 29
  제1절 북한 여성의 임신, 출산 및 건강 실태 31
  제2절 북한 영유아의 건강 및 영양 실태 38
  제3절 북한 아동의 건강 실태 46
  제4절 소결 50
제3장 국내외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의 현황 55
  제1절 국내외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의 흐름 58
  제2절 국외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62
  제3절 국내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77
  제4절 소결 90
제4장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 네트워크 분석 93
  제1절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 전체 네트워크 97
  제2절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 국내 네트워크 115
  제3절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 국외 네트워크 133
  제4절 소결 151
제5장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 발전 방안 157
  제1절 아동의 삶의 질에 대한 통합적 접근 160
  제2절 북한 영유아 및 아동 지원 사업의 통합 모델 탐색 173
  제3절 소결 177
제6장 결론 179
  제1절 연구 요약 181
  제2절 정책 제언 183
참고문헌 189
부록 195
  부록 1. 아동질병 통합 관리(IMCI) 전략의 계획 수립 절차 195
  부록 2. 아동질병 통합 관리(IMCI) 지표 199

 


브라우저 최상단으로 이동합니다 브라우저 최하단으로 이동합니다